728x90
반응형
🏛️ 암호는 전쟁터에서 태어났다
암호는 원래 정보를 감추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.
특히 전쟁 중 적에게 작전 정보가 새지 않도록
비밀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탄생했죠.
예: 줄리어스 시저의 시저 암호
고대 로마의 시저(카이사르) 장군은
알파벳을 세 칸씩 밀어서 편지를 보냈어요.
예를 들어,
- A → D
- B → E
- C → F
이런 식으로 바꿔 쓰면, 적이 훔쳐도 내용을 알 수 없게 된 거죠.
지금 보면 단순하지만, 그 당시에는 매우 혁신적이었답니다.
🧪 현대 암호의 원리
오늘날의 암호는 훨씬 복잡합니다.
수학과 컴퓨터 과학, 그리고 고도의 알고리즘이 사용돼요.
대표적인 건:
- 대칭키 암호: 암호화와 복호화에 같은 키 사용
- 비대칭키 암호 (공개키): 암호화와 복호화에 다른 키 사용
- ex) A가 B에게 메시지를 보낼 때, B의 공개키로 암호화하고
B만 가진 **비공개키(개인키)**로만 복호화 가능
🔑 이런 방식 덕분에, 전자결제나 메신저, 인터넷 뱅킹이 가능해졌죠.
🏠 일상 속 암호, 생각보다 가까이에 있다
우리가 매일 쓰는 스마트폰, 메신저, 신용카드에는
수많은 암호 기술이 숨어 있어요.
📱 스마트폰 잠금 화면
- 지문 인식, 페이스 ID, 패턴, 비밀번호
- 실제로는 해시(Hash) 암호화 방식으로 저장됨
- 타인이 알아도 복호화 어려움
💬 메신저
- 카카오톡, 텔레그램, 왓츠앱 등은
종단 간 암호화(End-to-End Encryption) 적용
👉 중간에 누가 보더라도 내용을 해독할 수 없게 만들어져 있어요.
💳 인터넷 쇼핑 & 은행 앱
- 로그인할 때 쓰는 OTP(일회용 비밀번호)
- 공인인증서, 간편인증, 지문인증 등
모두 강력한 암호 알고리즘이 들어 있습니다.
🕵️♂️ 왜 우리는 암호에 의존하게 됐을까?
디지털 시대에는
"개인정보 = 나의 자산"
이기 때문에 정보 유출이 곧 피해로 이어집니다.
그래서 우리 모두는 매일
보안과 암호화된 환경 안에서 살고 있는 거예요.
🤖 AI와 함께 진화하는 암호
이제는 AI가 해킹을 막고, 이상한 로그인 시도를 탐지하기도 해요.
AI가 암호 기술과 결합되면,
더 정교하고 똑똑한 보안 환경이 만들어지겠죠
728x90
반응형
LIST